<목차>
o MD란?
o MD 종류 및 직무선택 팁
o MD를 지원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o MD가 되기 위해 갖춰야할 역량 (2편에서 계속)
현재 MD로서의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으로서 지원동기 및 역량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MD에 관한 정보는 우리가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그 안에서 우리에게 당장 필요하고 적합한 내용을 찾아
우리의 직무에 빠른 피드백과 정보를 얻는게 가장 중요하겠죠?
여러 정보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핵심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MD란?
현재 MD로서의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으로서 지원동기 및 역량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MD라는 직무가 무엇인지 먼저 검색을 해보면 상품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총괄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는데요.
우리가 평소에 사는 화장품, 가구 여러가지 물건들은 모두 MD를 통해서 우리에게 도착하게 된다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MD라는 직무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한번 알아봅시다.
MD 종류 및 직무 선택 팁
가장 큰 틀로 우리가 먼저 봐야햘 것은 자사 상품을 기획하는지 VS 외부 상품을 유통하는지
확인하시는 게 첫번째 입니다.
제조업 MD
상품 기획 MD | 어떤 상품을 만들 것인가를 결정하고, 생산부터 출시까지 관리하는 역할 |
브랜드 MD | 브랜드의 콘셉트와 제품 라인을 기획하고 브랜드를 성장시키는 역할 |
카테고리 MD | 특정 제품군(뷰티, 가전, 식품 등)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MD |
유통업 MD
바잉 MD | 국내외 브랜드나 제조업체에서 상품을 구매(소싱)하여 판매하는 역할 |
운영 MD | 상품이 잘 팔릴 수 있도록 매출 관리 및 전략을 세우는 역할 |
온라인 MD | 온라인 몰(자사몰, 오픈마겟, 소셜커머스 등)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역할 |
VMD | 매장 및 온라인몰에서 상품 디스플레이 및 연출을 담당하는 역할 |
MD를 지원하게 된 동기
나의 성향과 선호도를 고려했을 때, 상품 기획 MD나 온라인 MD 쪽이 가장 잘 맞을 것 같았다.
1. 상품 기획 MD (제조업 MD)
특징: 시장 조사 → 트렌드 분석 → 신상품 기획 → 생산 관리
새로운 상품을 기획하는데, 데이터와 트렌드를 기반으로 결정함 (창의적인 마케팅보다 논리적인 기획 중심)
협업이 있지만, 주로 제조사와의 커뮤니케이션이므로 영업보다는 체계적인 관리 업무에 가까움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만들면서도, 어느 정도 유동적인 요소가 있음
가끔 외근(공장 방문, 샘플 확인)이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무직
✔ 너무 틀에 박히지 않으면서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역할이 많음
✔ 독립적으로 기획하고 조율하는 업무가 많아 협업이 적당함
✔ 창의적인 마케팅보다는 정해진 프로세스 안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일이 주됨
2. 온라인 MD (유통업 MD)
특징: 이커머스 플랫폼 운영, 상품 소싱 및 기획, 데이터 분석
네이버스토어, 쿠팡, 무신사 같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기획하고 운영
매출 데이터를 분석하고, 어떤 상품이 잘 팔릴지 예측하여 기획
광고, 마케팅을 직접 하지는 않지만, 관련 부서와 협업할 일이 있음
업무가 비교적 자유롭고, 혼자 진행하는 일도 많음
사무실 근무가 기본이며, 깔끔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음
✔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업무가 많음
✔ 사람을 많이 만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음
✔ 사무실 근무가 기본이라 근무 환경이 깔끔함
✔ 9 to 6 근무 가능하며, 주말 근무가 거의 없음
그래서 온라인 MD (이커머스 MD, D2C MD, 라이브커머스 MD)로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저와 비슷한 성향을 가진 분들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취준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MD 자소서 작성 직무 자소서 (2) | 2025.03.29 |
---|---|
MD가 되기 위한 자격증 테크트리 (2) | 2025.03.29 |
온라인 MD 역량-2편 (2) | 2025.03.28 |
2025 회계 자격증 시험 일정 (1) | 2025.03.24 |
회계 관련 자격증 취득 순서 및 종류 난이도 (2) | 2025.03.24 |